LMS (Learning Management System)이란?
- 교수,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을
교수자, 학생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ystem (Online) - 시, 공간 제약에서 벗어나 교수-학습 가능케 함
- 쓰인 곳 예 : Flip learning, Blended learning
- LMS 가 중추적 역할을 하는 곳 : E-learning, Online 교육, 학습분석학 (Learning Analytics)
LMS 의 Platform화
- LTI (Learning Tools Interoperability) 와 함께. LTI는 표준화되어있으며,
LTI는 일종의 ‘스펙’ 과 같은 것. - LTI를 통해 Third party app 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- LTI 용어
Consumer (LMS등의 platform)
Tool provider (외부 app)
e.g. Canvas를 운영하는 회사 - Instructure : www.eduappcenter.com 운영함
LTI 모아놓는 공간, 스마트폰의 app market 역할을 함.
LMS 플랫폼의 방향
- LMS 는 여러 third party 들에게 기능을 양도할 것.
이유? 너무나 많은 수요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짐(학생, 교수자, 관리자, 기관…) - 하나의 LMS 가 모든 요구를 통합하기가 어려우므로, 기능은 Third party app 들에게 맡기고 LMS 는 일종의 ‘Window’ 체제처럼, 기능성보다는 편리성에 치중을 두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임.
이런 상황에서 교육공학의 역할
1) 교육 app 의 효과성 검증 : 개인의 app 별점 평가보다 훨씬 신뢰성 높음
2) 인공지능 Technology 와 LMS와의 연결
3) 모바일 learning 가이드라인 제시
4) Learning Analytics 를 정교하게 적용하여 학습성과, 실패에 대한 예측모형을 제시함.
: 학습실패 가능성이 높은 학습자를 미리 filter 하는 등, 처방적 교수활동을 진행.
This is a summary, based on the essay by Professor Donggil, Song
(source :http://einbrain.com/1799 )